최근 농업 및 축산업계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소 럼피스킨병은 무엇일까요? 이 글에서는 소 럼피스킨병의 증상 및 감염경로, 국내 발생 현황을 살펴보고,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대처방법에 대해 심도 깊게 탐구해 보겠습니다. 소 럼피스킨병은 축산농가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질병으로, 올바른 정보와 적절한 대응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럼피스킨병의 증상 및 감염경로
럼피스킨병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전염병으로 우리나라 가축전염병예방법상 제1종 가축전염병입니다. 잠복기는 통상 4~14일 최대 28일이고, 폐사율은 10% 이하입니다. 주요 증상으로는 열이 많이 나고, 피부 및 점막의 결절이 생기며, 궤양성 병변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. 머리부위, 생식기 및 항문 주변 등 털이 적은 부위에서 피부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, 중증인 경우 몸 전체에 피부결절이 형성되기도 합니다. 결절 외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
ㆍ고열(40~41.5℃), 식욕부진, 우유 생산량이 감소하는 경우 ㆍ피부 외 눈의 각막, 구강 점막, 소화기, 호흡기 등의 점막병변(결절 등) ㆍ눈, 코, 입의 분비물 증가 ㆍ임신 소의 유산, 수소의 불임 |
럼피스킨병의 감염 경로는 주로 흡혈 파리류(침 파리 등), 모기류(숲모기 속, 집모기 속 등), 진드기류(참진드기 속) 등에 의해 전파됩니다. 또한 감염된 소의 피부, 침, 분비물과 직접 접촉하거나 오염된 매개물(주사기, 급수통 등)에 의한 전파도 가능하다고 합니다. 그러나 소, 물소에만 감염되며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으니 하니 육류 및 유제품 소비를 염려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. 한편 기후 변화는 흡혈곤충 매개 감염병의 증가에 영향을 미칩니다. 따뜻해진 기후는 모기와 같은 흡혈곤충의 생존 및 번식 범위를 확대시키고, 이들의 활동 기간을 연장시킵니다. 이로 인해 모기가 옮기는 질병들, 예를 들어 뎅기열, 지카 바이러스, 말라리아 등의 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. 또한, 기후 변화는 새로운 지역에서 이러한 질병들이 출현하게 만들 수 있으며, 기존에 감염 위험이 낮았던 지역에서도 발병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발생 현황 및 대처방법
발생 현황
1929년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발생한 이후에 주로 아프리카지역에서 발생하던 소 럼피스킨병은 1989년 이스라엘에 전파되고, 2013년에는 터키로 확산된 이후 그리스, 남동유럽과 러시아로 전파되었습니다. 2019년에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여 발생 국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. 2023년 10월에는 결국 국내에서도 첫 사례가 발생했는데, 럼피스킨병 중앙사고수습본부(본부장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, 이하 중수본)에 따르면, 충남 서산시 소재 한우농장에서 럼피스킨병이 처음으로 발생한 이후 서해안 중심으로 충남과 경기의 소 사육 농장에서 지속 발생하고 있으며, 최근에는 충북 음성군, 강원 양구군에서도 추가 발생하는 등 총 29건이 발생했다고 합니다.
대처방법
이 질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초기 발견 및 신속한 대응이 중요합니다. 예방적인 접근으로는 백신 접종, 축사 위생 관리, 감염된 개체와의 격리 등이 있습니다. 또한, 정부 차원의 방역 조치와 지침 준수가 필수적입니다. 한국의 경우 지난해 10월 첫 사례 발생 즉시 발생농장의 소를 살처분하고, 일시이동중지, 긴급 소독 등의 초동 방역조치를 실시했고, 발생농장 인근지역 긴급 백신 접종, 흡혈곤충 방제 등을 추진했습니다. 한편 전국의 가축용 소 대상 백신 접종을 모두 완료하기 전까지 질병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발생 시·군 및 인접 시·군 농장의 도축장 출하를 제외한 모든 가축의 이동을 제한하고 가축분뇨의 경우에도 정밀검사 결과가 음성인 경우에만 이동을 허가했습니다. 또한, 사람이나 차량뿐 아니라 럼피스킨병의 주요 매개체인 모기, 파리 등 흡혈곤충의 개체 수를 줄이기 위해 보건소 차량을 활용해 농장 주변 방역 및 소독을 실시하고, 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 제거와 농가 대상 흡혈곤충 방제 교육도 추진했습니다.
소 럼피스킨병은 국내 축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질병입니다. 정확한 정보와 적극적인 예방 및 대응 방법이 필요합니다. 이 글을 통해 소 럼피스킨병의 기본적인 이해와 함께, 이에 대처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. 축산업계 및 관련 당국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 다음 글에서는 더 흥미롭고 유익한 농업과 식량 관련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.
'귀농 귀촌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후변화 시대 전 세계 및 한국의 채식 인구 현황과 배경 (0) | 2024.02.01 |
---|---|
한국 친환경인증제도 배경, 신청방법, 특징과 도전과제 (0) | 2024.02.01 |
세포배양식품 정의, 사례, 장점과 도전과제 (0) | 2024.01.31 |
식용 곤충 산업의 현재와 미래 전망 알아보기 (0) | 2024.01.30 |
기후변화에 강한 농작물 연구 대표 사례 알아보기 (0) | 2024.01.30 |